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KIEAE Journal 2007년 10월

논문명 확장형 발코니 공동주택의 창호종류에 따른 결로 및 온열환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dens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Window Systems Types Installed for a Extended-Balcony Apartment
저자명 윤종호식별저자 ; 안영섭식별저자 ; 김병수식별저자
발행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수록사항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7 n.5(통권 27호) (2007-10)
페이지 시작페이지(87) 총페이지(6)
ISSN 15983730
주제분류 환경및설비
주제어 고단열 창호 ; 결로 ; 실내온열환경 ; 확장형 발코니 ; High-Performance Window ; Condensation ; PMV(Predicted Mean Vote) ; Expanded Balconies
요약1 본 연구에서는 확장발코니에 국내에서 생산?판매되고 있는 삼중로이창호외 3개의 창호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창호종류에 따른 결로 및 온열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요약2 As expansion of balconies at apartments has been legalized, the major function of the balconies as a thermal buffer zone is disappearing. This weakens the ability of window to insulate heat and multiplies surface condensation. Thus more and more residents require solutions to increasing surface condensation and aggravation in thermal comfort.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by evaluating performance of triple layered Low-E windows,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double layered clear window used for expanded balconies and marketed within the country in terms of surface condens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through simulation.Results revealed that no surface condensation occurred at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triple layered Low-E windows. Surface condensation took place at double layered clear windows and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at a relative humidity of 60%.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suggested that double layered clear windows showed the most time falling into the range of comfort at 23℃. The figure were 22℃ for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22℃ for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21℃ for triple layered Low-E windows.
소장처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언어 한국어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건물에너지효율등급 평가도구와 상세해석프로그램의 비교
이재혁 ; 유기형 ; 조동우 -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0906)
선형 열관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 열교 부위의 단열성능 평가
송승영 ; 구보경 ; 이병인 - 춘계학술발표대회 : 2009 (200903)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에 따른 창호의 결로방지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윤대원 ; 유선용 ; 이충근 ; 지석원 ; 송두삼 ; 김태연 ; 이승복 - 추계학술발표대회 : 2007 (200710)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에 따른 결로 방지를 위한 창호 디자인의 실험적 연구
윤대원(Yoon Dae-Won) ; 정창헌(Cheong Chang-Heon) ; 김지영(Kim Ji-Yoeng) ; 유선용(Yoo Seon-Yong) ; 김태연(Kim Tae-Yeon) ; 이승복(Leigh Seung-B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10 (200810)
실내 수증기 발생에 따른 주거형 창호의 지속적 결로에 관한 연구
성욱주 ; 조수 ; 장철용 ; 이진성 ; 백상훈 ; 박상우 ; 송규동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0604)
[집중기획] 확장형 발코니 공동주택의 결로와 대책
강재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36 n.6 (200706)
아파트 발코니 결로 실태를 통하여 본 결로 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김영수 ; 김진관 ; 이병호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8 v.01 (200812)
[특집원고] Energy Plus를 이용한 건물에너지 해석 및 BIM 활용
문현준 - 설비 | 공조 냉동 위생(한국설비기술협회지) : v.26 n.09 (200909)
외기에 면한 초고층 아파트 발코니 천정 내부결로 예측
최윤기(Choi, Yoon-Ki) ; 안재봉(Ahn, Jae-Bong)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4 No.4 (200312)
자연환기구를 이용한 발코니 공간의 결로저감 효과 분석
이종성 ; 김종엽 ; 황하진 - 주택도시(주택도시연구원) : 제90호 (200609)
■ 제 1 저자의 다른 문헌 | 윤종호식별저자더보기
강판일체형 경량 Polycarbonate BIPV 모듈의 장기 옥외 발전성능 측정 연구
강은호(Eunho Kang) ; 송광현(Kwanghyun Song) ; 최문규(Mungyu Choi) ; 김동수(Dongsu Kim) ; 윤종호(Jongho Yoon) - KIEAE Journal : Vol.25 No.1(통권 131호) (202502)
기계적 메타물질이 적용된 키네틱 파사드 건물의 자연채광 성능 평가
송광현; 이준영; 황태용; 윤종호; 김동수 -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4 (202411)
IoT 기반 이중외피 시스템의 사계절 실내 열적 쾌적성 및 에너지 절감 효과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이준영;김하영;김채영;윤종호;김동수;오덕진;오명환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1)
실험계획법과 건물에너지 분석을 통한 데이터센터 건물 외피 단열재의 최적 조건 평가
남현진;고재윤;김동수;윤종호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1)
산화칼슘 및 상변화물질 적용에 따른 하절기 내부 온/습도 비교 평가
황태용;조성윤;이민용;백민호;윤종호;김동수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1)
DGP기반 스마트윈도우 제어를 위한 IoT연계형 현휘 센서 개발 및 검증
최유나;김태권;강련성;김동수;윤종호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1)
다양한 성능 곡선 변화에 따른 VRF 시스템 에너지 소비량 예측: 실측 실험과 시뮬레이션 중심
송광현;이성주;서영훈;고재윤;윤종호;김동수;남현진 -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1)
하절기 열 환경 개선 및 냉방 부하 저감을 위한 IoT기반 이중 외피 시스템의 블라인드 및 배기 시스템 제어 연구
이준영; 김하영; 김채영; 오덕진; 오명환; 윤종호; 김동수 - 추계학술발표대회 : 2024 (202411)
아파트 발코니 태양광 시스템의 최적 설치 용량 및 경제성 분석 연구
이루다;김동수;윤종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0)
열적 쾌적도 개선을 위한 발열유리 창호 예측제어 시스템 개발
강은호;김동수;윤종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2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