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국토계획(논문집) 2009년 4월

논문명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through Historical Environment: Incheon Art Platform Project in the Old Downtown of the City of Incheon / 인천시 구도심‘인천아트플랫폼’사업을 중심으로
저자명 최강림식별저자 ; 이승환식별저자
발행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수록사항 국토계획, v.44 n.2(통권 169호) (2009-04)
페이지 시작페이지(219) 총페이지(12)
ISSN 1226714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역사문화환경 ; 구도심 ; 인천시 ; Urban Regeneration ; Historical Environment ; Old Downtown ; City of Incheon
요약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Historical Environment in old downtown of the city of Incheon; Incheon Art Platform Project. For this purpose we made an analysis frame based on theoretical study and research on foreign cas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Historical Environment such as ‘the Daishanzi 798’ in Beijing(China), ‘the Meat Packing’ in New York(USA) and ‘the Acarenca Warehouse’ in Yokohama(Japan). The paper is to present some meanings as followings. ‘The Incheon Art Platform Project’ is a public oriented project, but it is not enough in reusing of existing buildings and legal supporting programs for inviting of artists. So, we suggested three parts of improvements on legal supporting programs, planning and design on reusing of existing buildings an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소장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언어 한국어
분석서지
도시계획 > 도시관리 > 도시정비

본 연구는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성공적 국외 도시재생사례와 근대 개항장이라는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인천시 구도심의 도시재생계획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사례연구를 실시한 결과, 인천아트플랫폼도 문화예술가들의 작품활동 및 전시, 이벤트 등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입주여건의 완화 및 세제혜택 등의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기존 건축물을 보존하고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수 있는 조성계획 및 역사자원 재활용계획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 제 1 저자의 다른 문헌 | 최강림식별저자더보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계획의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조충현 ; 최강림 ; 정두용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1(통권 제38호) (201003)
[논문] 지방중소도시 중심시가지 유형설정에 관한 연구
이범현 ; 문채 ; 최강림 - 국토계획 : v.44 n.6(통권 173호) (200911)
[논문] 도시이미지전략의 유형별 사례연구
김세용 ; 최강림 - 국토계획 : v.44 n.1(통권 168호) (200902)
도시상업가로 보행환경의 현황분석과 개선방향 연구
최강림(Choi Kang-Ri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12 (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