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7년 2월

논문명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of Eco Museum for Sustainability of Local Culture
저자명 김수진 ; 이종세 ; 김주연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1 (2017-02)
페이지 시작페이지(9) 총페이지(16)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에코뮤지엄 ; 지역문화활성화 ; 지역성 ; 장소마케팅 ; 지속가능성 ; Eco Museum ; Activate regional culture ; Locality ; Place marketing ; Sustainability
요약1 산업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국가, 도시 그리고 지역들의 경쟁력과 문화적 가치는 더욱 주목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문화적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증가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의 정주적 환경 및 장소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지자체들은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문화정체성 구축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와 장소성은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역 활성화 전략의 핵심수단으로 에코뮤지엄을 도입하여 지역 가치상승의 다양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유의 유산을 보존 및 개발하여 차별화된 지역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가치를 밝히고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지역문화공간과 에코뮤지엄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여 에코뮤지엄이 장소성을 구축함을 파악한다. 구축된 장소성을 부각하기 위해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의 구성요소 5가지를 도출하고, 부각된 장소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적 특성요소 4가지를 제시한다. 앞에서 도출한 장소성 관련 요소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에코뮤지엄 조성의 가치적 방안을 검증한다. (결과)첫째, 대부분의 에코뮤지엄은 지역의 유·무형의 유산을 보존·활용한 장소 자산과,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 그들에 의해 주도되는 네트워크, 박물관 및 연구 활동을 가지고 장소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은 지역문화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룩함으로써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장소성을 부각한다. 셋째,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적 특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교감, 소통, 공감, 공유할 수 있는 끌림이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조성하여 부각시킨 장소성을 유지한다. (결론)본 연구에서 지속적인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의 조성으로 지역과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관광증진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으며, 지역민의 교육과 문화의 장이 되고, 쾌적하고 윤택한 환경의 조성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환경적인 가치가 창출되었다. 장소에 내재된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연결하는 에코뮤지엄은 사람과 공간을 잇는 정서적 문화공간으로써 지역의 장기비전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지역발전의 대안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도시와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기대 해본다.
요약2 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value of the countries, cities and regions are picking up more attention. This is due to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al fulfillment and quality of life in modern people and the growing interest in local settlement environment and place that can satisfy them. Therefore, to have locally cultur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interest over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rough cultivating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place are important, and the eco museum is introduced as a key means of regional activation strategy, showing various achievements of local value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eco museum in terms of location marketing that can enhanc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y preserving and developing local heritage. (Method)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al space and the eco museum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co museum‘s strateg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tructed place, five element of eco museum are derived from applying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four elements of sustainable space composition are proposed to maintain the highlighted property of place. We analyz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lace of loc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d verify the value of the eco museum. (Results)First, I found out the majority of the eco museum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created the places with the well-preserved of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network led by them,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eco museum, which uses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not only promotes local culture but also promotes local economy, thereby creating a synergy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ir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eco museum strengthen its locality by creating charming space that engenders atmosphere suitable for exchange of feelings, communicate, share common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people around them.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eco museum for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he local culture has l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local residents, better off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the educ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As a result,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are enhanced. The eco museum is an cultural spa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that links people and space to discover the potential value inherent in the place, create new value, and connect the present to the future roots in the past. Creating such future-oriented region will serve as another form of commun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cultural asset to strengthen c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언어 한국어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에코뮤지엄의 프로그램과 공간체계분석에 관한 연구
이승용 ; 공순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38호 (2012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유럽 에코뮤지엄의 테마별 특징에 대한 연구
신현요 ; 정진주 ; 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8 n.2 (2006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