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지능형도시의 디지털 어메니티를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rvice Framework for Digital Amenities of a Smart City |
수록사항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9 No.01 (2014-03) |
주제어 |
디지털 어메니티 ; 서비스 프레임워크 ; 서비스플랫폼 ; Digital Amenities ; Service Framework ; Service Platform |
요약1 |
(연구배경 및 목적) 바쁜 도시적 삶에서 커뮤니티의 연대는 점차 느슨해지고, 커뮤니티의 개념이나 의미가 약화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다원화된 도시적 삶 속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변화에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의 디지털 어메니티 생태환경을 제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을 4가지 수학적 모델을 기초로 분류하고, 도시생활 속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 요소들을 추출한 후, 각 공간의 성격별, 위계별, 사용자별로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모델을 제시한다. (결과)도시공간에서 디지털 어메니티의 핵심인 사람과의 관계, 즉 커뮤니티를 증진시키고, 활용주체간의 원활한 소통(Mix)과 협력체계(Match)를 구축하기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지속적인 콘텐츠 발굴과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피드백 및 검증 절차를 거쳐 생물학적?유기적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다. |
요약2 |
(Background and Purpose) Urbanization can lead to a lack of community kinship and weaken the concept of commun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corresponding intelligent digital amenities with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city to accommodate changes in the plurality of urban life. (Method) In this study, the city was divided into four different mathematical models. The required services for urban life were extracted, and then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based on spaces by characteristics, classes, and users. (Results) The community, the main relationships with people of digital amenity, will restore connecting people and promote community, and constructed framework to establish smooth communication (Mix) and cooperation (Match). Biological and organic systems need to be developed with continuous content discovery and service-platform-related service feedback and verification process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