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df원문보기 에러 해결방법 바로가기



문헌홈 > 연구논문 > 상세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미리보기 인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9년 8월

논문명 도시 공간에서 공공미술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of Public Art in Urban Space
저자명 오재란 ; 최익서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4 (2019-08)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공미술; 가치생성; 도시재생; 빌바오; 아트프로젝트 ; Public Art; Value Production; Urban Regeneration; Bilbao; Art Projec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미술은 도시환경 속에서 대중들이 거리를 걷다보면 건물 앞에 놓인 작품들을 흔하게 마주칠 수 있다. 사회적 문화예술로 인식되어진 공공미술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지만, 무분별한 작품 설치는 공해로 인식되어지고 시민들의 민원도 끊이지 않는 사회적인 폐단까지 속출한다. 예술은 삶과 무관하지 않고, 도시 속의 예술은 예쁜 장식물이 아닌 궁극적인 아름다움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미술이 도시공간에서 어떠한 가치생성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연구 목적으로 공공 미술의 현상학적 가치가 대중들에게 행복과 즐거움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와 공공미술이 주는 가치생성에 대한 평가의 근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공미술의 성공적인 사례인 빌바오(Bilbao)의 도시재생 프로젝트 중에서 예술작품인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 제프쿤스(Jeff Koons),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조형 작품을 중심으로 범위로 선정하여 첫째, 공공미술의 개념과 장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이론적 고찰에서 추출된 가치생성에서 가치요소를 도출하여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세 번째, 분석모형에서 가치요소의 분포도를 연구하고 소결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은 공공미술의 가치 생성에서의 역할과 앞으로 공공미술 선정 시 전략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빌바오 도시재생 사례의 분석 결과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공공적인 가치에서는 우위를 차지하였지만, 유명한 작가의 편중된 장소에 대한 상징적 가치 부분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세계적인 나라의 공공장소에서 유명 작가의 작품의 독점이 빌바오 사례에서도 보인다. 하지만 빌바오의 경제적 가치에서 경제성은 유명 작품이 한 곳에 모여 관광객 유입으로 인한 소득이 증대 되었다. 예술성이나 참여성 그리고 공공성에서는 분명 성공사례이다. (결론) 빌바오 사례에서 도시의 상징성의 가치요소 부분은 비록 결과에 대한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프랑스나 영국, 미국의 상업적인 사업이 아닌 문화적인 접근으로 성공적인 사례라 말할 수 있었다. 공공미술의 가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조그마한 행복이다. 소소한 일상에서 느껴지는 가치에 대한 인식이 법 조항에서가 아닌 도시환경에서 공공장소에 반드시 필요하고, 사물에 대한 가치에 대한 분석은 주관적인 개념이 아닌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내용이 공공미술 작품 선정과 도시 환경 전략 제안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People can easily encounter artwork in front of building when they walk along the streets in urban settings. Although the social importance of public art is being recognized, reckless installation of artwork is considered as visual pollution, which even citizens constantly criticize leading to negative effects. Art is connected to life, and art in the city should have ultimate beauty, and art is not limited to pretty ornam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value public art creates in an urban spac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phenomenological value of public art gives the public a happy pleasure, and to evaluate the value generated by public art as the basis for the study. (Method) Among the success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Bilbao, the scope of the study is settled on sculptures of Anishi Kapoor, Jeff Koons and Louis Bourgeois. Firstly, the concept and place of public art is theoretically considered, and secondly, the value factor derived from value generation extract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is used to propose analysis model. Thirdly, the distribution plot of the value element is studied and indexed in the analysis model. Finally, the conclusion is to propose the role, strategy and direction of public art in the selection and value creation of public art in the future. (Results) The analysis of Bilbao urban regeneration case shows that the artistic value, social value, and public value have gained superiority, but low in the symbolic value. Bilbao's case shows the monopoly of a famous artist's work in public places in a world-class country. However, in Bilbao's economic value, its major source of income has increased from the influx of tourists for the place with famous artworks located closely. It is certainly a success story in artistry, participation and publicity. (Conclusions) In Bilbao's case, there was a result that could have been better regarding the value-factor of the city's symbolism. it could be said that it is a success story with a artistic approach instead of a commercial business in France, England or the United States. The value of public art is a small happiness that improves people's quality of life. The study showed that awareness of the value felt in everyday life is essential in public places in urban settings, not in the provisions of the law, and that the analysis of the value of things is not a subjective concept. We hope tha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ill be used in selecting public art works and proposing urban environment strategi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언어 한국어
DOI http://10.0.137.144/kisd.2019.14.4.23
■ 추천문헌 (이 문헌과 같이 본 문헌)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장소를 형성하는 공공미술 연구
박미예(Park, Mi Y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5 (202105)
도시개발 및 재생의 수단으로 통합적 공공미술 추진 전략 연구
조경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