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리모델링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 공간 구성의 변화 연구 - 2010년 이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changes in floor space composition of remodeled apartment units - Focusing on Cases in Seoul Since 2010 - |
수록사항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9 No.04 (2024-06) |
주제어 |
단위세대 평면; 리모델링; 공동주택; 공간구문론; Depth-map ; Unit Floor Plans; Remodeling; Apartment Complexes; Space Syntax; Depth-map |
요약1 |
(연구 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 효과적인 주거환경 조성, 지역 재생 및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업이다. 최근 주택 공급량 증가와 거주자 인식 변화로 인해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공동주택 공급이 요구되며, 단위세대 내부 공간도 변화하는 생활양식에 맞게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지역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전후 단위세대 평면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리모델링에 따른 공간의 다양화 현상을 파악하고, 리모델링에 따른 주거환경 변화의 특징을 객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서울시에서 리모델링이 완료된 공동주택 중 10개 단지를 대상으로 한다. 각 단지에서 세대수가 가장 많은 주력 평면을 선정하여 총 10개의 단위세대 전후 평면을 분석한다.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 구성 변화를 파악하고,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변화를 분석한다. 공간구문론 기반의 Depth-m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위세대 평면의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의 지표를 통해 공간 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공간 성격에 따른 분석값을 토대로 리모델링 측면에서의 공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모든 사례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평면 구성이 변화하였지만, 일관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연결성은 모든 사례에서 리모델링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합도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감소하였으나 일부 사례에서는 상승하기도 하였다. 명료도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리모델링 후 낮아졌다. 공적 공간인 거실과 현관은 리모델링 이후 연결성과 접근성이 다소 감소하였다. 반면, 사적 공간인 안방은 리모델링 이후 전체 공간에서의 접근성이 낮아졌으며, 최근 사례일수록 사적 공간의 독립성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서울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대상으로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구성 변화를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공간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실현되는 과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예상했던 공간 성격별 변화 추이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실의 배치 변경과 전이 공간의 도입으로 인해 각 공간의 기능이 분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반영한 평면 설계와 동선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간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사례를 대상으로 공간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실효성과 완성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요약2 |
(Background and Purpose) Remodeling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project that improves the liv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aging apartment complexes. Historically, apartment complexes were supplied uniformly, but recently, they have been designed to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residents. This change results from the increased housing supply and shifts in residents' perceptions. Since resi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interior space of a unit, research and improvements are necessary to adapt to changing lifestyl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nit floor plans of remodeled apartment complexes completed in Seoul since 2010 and objective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following remodeling.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en apartment complexes that have been remodeled in Seoul since 2010. The main floor plan with the largest number of units in each complex is selected, resulting in a total of ten pre- and post-remodeling unit floor plans for analysis.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re identified, and the patterns of change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are examined separately. Using the Depth-map program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a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indicators such as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of unit floor plans. (Results) In all cases, the floor plan composition changed through remodeling, but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did not consistently increase across all cases. Connectivity generally decreased after remodeling across all cases, while integration decreased in most cases but increased in a few. Intelligibility decreased in most cases after remodeling. Public spaces such as the living room and entrance showed a slight decrease in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after remodeling. In contrast, private spaces like the main bedroom exhibited reduced accessibility within the entire space after remodeling, with a tendency for enhanced independence of private spaces in more recent cases. (Conclusion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chang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unit floor plans in apartment complex remodeling cases in Seoul since 2010 using space syntax theory. The study objectively identified the process of diversifying residential spac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through remodeling. The results differed from the expected trends of change by spatial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ispersion of functions in each space due to changes in room layout and the introduction of transitional spaces. As interest in apartment complex remodeling gr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exploring spatial composition strategies that reflect changes in residents' lifestyle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circulation systems. |